반응형
DTO란?
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의 객체 정도로 생각
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쪽으로 전송하는 요청 데이터,
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쪽으로 전송하는 응답 데이터의 형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.
이 구간에서 DTO를 사용
DTO 클래스가 요청 데이터를 하나의 객체로 전달 받는 역할을 해준다
@RestController
@RequestMapping("/v1/members")
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{
@PostMapping
public ResponseEntity postMember(MemberDto memberDto) {
return new ResponseEntity<MemberDto>(memberDto, HttpStatus.CREATED);
}
...
...
}
DTO 클래스를 사용하면 유효성 검증 로직을 DTO 클래스로 빼내어 핸들러 메서드의 간결함을 유지
반응형
@PostMapping
public ResponseEntity postMember(@RequestBody MemberPostDto memberPostDto) {
return new ResponseEntity<>(memberPostDto, HttpStatus.CREATED);
}
@RequestBody
JSON 형식의 Request Body를 MemberPostDto 클래스의 객체로 변환 시켜주는 역할
반응형
'Framework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AllArgsConstructor, NoArgsConstructor (0) | 2022.12.07 |
---|---|
[Spring] Spring Framework 개념 및 정리 (2) | 2022.10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