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TCP/IP 4 계층이란?
OSI 7 계층보다 먼저 나온 규격이지만 더 많이 활용된다.
계층 기능
1 계층 :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(Network Access Layer)
-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기기 간에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.
-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한다.
- 에러 검출 기능(Detecting Errors), 패킷의 프레임화(Framing Packets)
- LAN, 패킷망 등에 사용된다.
- 프로토콜 : Ethernet, wifi
2 계층 :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- 네트워크 주소를 기반으로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한다.
- 프로토콜 : IP, ICMP, ARP, RARP
반응형
3 계층 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- IP와 애플리케이션을 중개해 데이터를 확실하게 전송한다.
- IP와 Port를 이용하여 프로세스와 통신한다.
-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,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.
- 프로토콜 : TCP, UDP
4 계층 :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- 애플리케이션에 맞추어 통신한다.
- 다른 계층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.
- TCP/UD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한다.
- 프로토콜 : HTTP, DNS, FTP, SSH
반응형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네이티브 앱 (Native App) 과 웹 앱 (Web App) 개념 정리 (2) | 2022.10.02 |
---|---|
[Network] 회선 교환(Circuit Switching) 방식과 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 방식 (2) | 2022.10.02 |
[Network] TCP/UDP 개념 및 정리 (1) | 2022.10.01 |
[Network] OSI 7 계층 (OSI 7Layer) 개념 및 정리 (2) | 2022.09.30 |
[Network] LAN과 WAN 정리 (2) | 2022.09.30 |